65 <르네상스와 완벽한 인간형> - 브룩하르트 박사
르네상스 시대는 완벽한 인간형을 창조했다. 이 완벽한 인간은 논ㄹ적인 발언과 아름다운 말투를 사회적, 공적으로 사용할 줄 안다. 시작성, 악기연주를 하고 그림을 그릴 수 있지만, 절대로 이런 일에 많은 시간을 쓰지 않는다.
르네상스맨은 완벽한 글씨체로 쓸 수 있고 여러 나라의 언어로 편지도 쓸 수 있다. 말을 빠르게 타며 창을 다룰 줄 알고 빈손이나 칼을 가지고 자신과 도시의 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돛 달린 낚싯배를 다룰 줄 알며, 군함을 운전할 수 있다. 사업 수완도 뛰어나지만 절대로 돈을 거론하지 않는다. 항상 깨끗한 옷차림을 하고 있지만 패션에 지나치게 신경 쓴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팔방미인 = 르네상스맨
76 노트하지 말라. 그것은 지루함을 탈피학 위한 하나의 심리학적 작용이다. 크게 강조하는 부분을 메모형식으로 남겨라. 그것만이 우리 뇌에 유용한 것이다. 메모와 노트를 구분하라.
교과서나 참고서는 우리가 기억해두어야 할 것들을 잘 정리해놓은 책이니 그것을 참고하면 된다.
3분 안에 노트를 보고 그 강의 내용 전체를 다시 떠올릴 만큼 능률적이고 간편하게 가능한 조금만 적는다.
78 시험 전날에는 교과서만 공부한다.
알아야 하는 것은 모두 교과서에 다 있다.
91 데카르트의 <방법서설_기하학>
데카르트의 평면
- XY축을 이용한 함수 그래프를 데카르트가 발명했다.
커트 고델(노벨상 수상자)
“수학이란 순수 논리를 단어의 치장 없이 나타내는 언어이다.”
수학은 철학적 생각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전문용어이다. 데카르트의 철학을 통해서 수학이 더이상 지겨운 수리와 법칙으로 보이지 않고 논리 철학의 가장 뛰어난 발명품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 조승연
학교 공부의 모든 과목은 이처럼 모두 다른 과목에서 파생되었다. 내가 좋아하는 과목도, 싫어하는 과목도 사실 같은 학문적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어려운 용어는 왜 사용되는가?
1) 신속하다. 말은 하나의 기호이기에 보다 신속한 것을 선호한다.
2) 정확하다. ‘힘’이라는 단어의 모호성을 과학에서는 정확하게 정의함으로 개념을 명확하게 한다. 따라서 히브리어나 한자보다 그리스어와 독일어가 더 과학적이다.
*수학의 공식을 잘 외우는 방법은 누가 그 공식을 만들었는지, 그 사람은 어떻게 생겼고 누구랑 친했으며, 누구의 영향을 받았는지 등을 알아보고 연대표를 그리면 잘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소리를 가장 빨리 외운다. 그리고 그림이고 글은 가장 비효율적이다. 글을 외우는 것은 대부분 소리로 외웠다가 다시 머리속에서 자기 자신에게 소리로 읽으며 글로 전환하는 것이다. 개그맨의 말이 책의 구절보다 더 빨리 유행을 타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그 학기에 배워야할 기본지식을 제대로 습득했는지
토플:
외국인 학생이 미국 대학에 입할해 공부할 수 있을 만큼의 기본적인 영어실력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수능:
학생이 대학교육을 받는데 필요한 어휘력, 판단력, 논리적 사고력의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160 Understand 이해하다. 아래에 서다.
이해하고 받아들인 지식은 나의 정신 영역 아래에 놓여 있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Comprehend 이해
Com (함께) + prendere (놓다, 만들다)
지식과 내가 함께 하나가 되는 것이다.
'1 독서노트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정명론 (0) | 2019.02.24 |
---|---|
천재를 만드는 부모의 3가지 규칙 (0) | 2019.02.24 |
공부는 귀족들의 ‘레저’였다 (0) | 2019.02.23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10계명' (0) | 2019.02.23 |
캠퍼스(Campus)의 유래 (0) | 2019.02.23 |